2025년부터 이렇게 바뀝니다! 근로장려금 제도 변경 총정리

2025년 근로장려금 제도, 뭐가 바뀌었을까요? 조용히 넘어가기엔 꽤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특히 소득 기준과 최대 지급액이 달라졌고, 자영업자 일부도 반기신청 대상에 포함되는 등 실질적인 수급 요건이 완화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뀐 제도를 항목별로 정리하고, 달라진 조건에 따라 내가 받을 금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안내합니다.

2024년과 2025년 근로장려금 제도의 주요 변경 사항을 비교한 그래픽, 소득 기준 및 지급액 인상 강조

소득 기준, 얼마나 올라갔나요?

가장 큰 변화는 소득 기준 상향입니다. 수급 대상이 되는 소득 상한이 올라가면서 더 많은 근로자가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단독가구: 2,100만 원 → 2,200만 원
  • 📌 홑벌이 가구: 3,100만 원 → 3,200만 원
  • 📌 맞벌이 가구: 3,700만 원 → 3,800만 원

지급액은 얼마나 늘었을까?

2025년부터 최대 지급액도 인상됩니다. 가구 유형별로 수급 한도가 올라가며, 특히 맞벌이 가구는 최대 330만 원까지 가능해졌습니다.

  • 💰 단독가구: 150만 원
  • 💰 홑벌이 가구: 260만 원
  • 💰 맞벌이 가구: 330만 원

반기신청, 누가 더 포함되었나요?

기존에는 근로소득자만 신청 가능했던 반기신청이 2025년부터는 일부 자영업자까지 확대됩니다. 단, 일정 소득 이하 조건을 만족해야 하므로 사전 확인은 필수입니다.

간편 인증 방식도 더 쉬워졌습니다

홈택스와 손택스에서는 이제 카카오, PASS 등 간편 인증을 더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공동인증서 없이도 로그인과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감액 기준, 더 엄격해졌나요?

재산에 따른 감액 기준은 기존 1억 4천만 원에서 1억 5천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단, 감액률(최대 50%)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한눈에 보는 변경 사항 요약

항목 2024년 2025년
소득 기준 단독 2,100만 / 홑벌이 3,100만 / 맞벌이 3,700만 단독 2,200만 / 홑벌이 3,200만 / 맞벌이 3,800만
최대 지급액 단독 140만 / 홑벌이 250만 / 맞벌이 320만 단독 150만 / 홑벌이 260만 / 맞벌이 330만
반기신청 대상 근로소득자만 근로소득자 + 일부 자영업자
감액 시작 기준 재산 1억 4천만 원 이상 재산 1억 5천만 원 이상

내가 해당되는지 꼭 확인하세요

이번 개정으로 인해 그동안 탈락했던 사람도 새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자격 조건을 사전 조회하고, 꼭 변경된 기준에 맞춰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변경된 기준을 기반으로 올해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실전 계산기를 활용해보는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자녀장려금 시리즈도 알아보기 👈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