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강령: 영혼의 기술》, 이번 전시에서 꼭 봐야 할 포인트

비범한 예술 경험을 찾고 계신가요? 2025 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강령: 영혼의 기술 (Séance: Technology of the Spirit)》이 그 해답입니다. ‘영혼과 기술의 접속’이라는 주제 아래, 미디어 예술이 자본주의적 논리를 넘어 영적 세계와 대화하며 변용되는 힘을 탐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시 일정과 장소, 주요 프로그램, 그리고 놓치지 말아야 할 관람 포인트까지 정리했습니다.

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강령: 영혼의 기술》 공식 포스터 스타일 이미지

전시 개요 및 일정

기간: 2025년 8월 26일(화) – 11월 23일(일)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낙원상가, 서울아트시네마, 청년예술청 등 도심 주요 공간
관람료: 무료 전시 다수 포함

예술감독과 기획 의도

예술감독은 Anton Vidokle, Hallie Ayres, Lukas Brasiskis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오컬트·신비주의·영성 전통을 바탕으로 ‘비엔날레를 강령의 장(場)’으로 제시하며, 가속화된 자본주의 논리에 대한 예술적 저항과 새로운 인식의 언어를 탐색합니다.

전시 구성 – 영혼을 향한 예술의 장

  • 영화 프로그램 (Cinematheque, 서울아트시네마): ‘Speaking with the Dead’, ‘Ancestors Breathing’ 등 4개 테마로 구성된 상영회. 파졸리니, 나나 메차세히, 고 타카미네 등 참여.
  • 사운드룸 (낙원상가): ‘Deep Listening’ 개념을 활용해 보이지 않는 세계와의 연결을 소리로 표현하는 사운드 아트.
  • 퍼포먼스 (Seoul Artists’ Platform_New&Young): ORTA(아렉산드라 모로조바 & 루스템 베겐로프)의 참여형 공연 The New Genius Experience of The Great Atomic Bombreflector.

프리즈 필름 서울 & 옥상 상영

전시 개막 주간에는 SeMA 옥상에서 Frieze Film과 협업한 특별 상영 시리즈가 열립니다. ‘Harmony’, ‘Reclaiming’, ‘Communion’, ‘Waking Dreams’ 등 주제로 구성되어 일상에 스며든 영적 경험을 제시합니다.

관람 포인트 – 왜 꼭 봐야 할까?

  • 예술과 영적 경험의 교차: 강령이라는 의식적 틀을 통해 미디어 예술이 어떻게 영적 체험을 가능케 하는지 체감
  • 장르 초월적 융합: 영상·사운드·퍼포먼스를 아우르는 다감각적 전시
  • 현대 예술의 질문: 가속주의적 자본 논리를 넘어 세계 인식을 전환하는 예술의 가능성 모색

방문 시 유의사항

서울시립미술관 외에도 낙원상가, 서울아트시네마 등 분산된 장소에서 전시가 진행되므로, 사전에 프로그램 일정과 장소를 확인하고 방문 동선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의 강령을 체험하기에 가장 적절한 순간입니다. 미디어 예술이 전하는 영적 울림을 놓치지 마십시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