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아빠 보너스제’ 급여가 일반 육아휴직과 같아진다고?”
맞벌이 가정이라면 꼭 챙겨야 할 소식입니다. 최대 720만 원 더 받을 수 있는 제도 개편,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고용노동부는 2025년 7월 29일 국무회의를 통해 ‘아빠 보너스제’의 급여 수준을 일반 육아휴직급여와 동일하게 인상하는 시행령 개정을 의결했습니다.
이제부터는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 실질적인 급여 인상 혜택으로 연결됩니다.
‘아빠 보너스제’가 뭔가요?
‘아빠 보너스제’는 부모 중 **두 번째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근로자에게 첫 3개월간 더 높은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육아는 엄마만의 책임이 아니라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맞돌봄 문화를 장려하기 위한 정부 정책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2022년까지는 첫 3개월간 통상임금 100%(월 최대 250만 원), 이후 50%(최대 120만 원)로 제한됐지만, 이번 개편으로 **전 구간 급여 상향 조정**이 이뤄졌습니다.
어떻게 바뀌었나요?
2025년부터 적용되는 개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4개월 차 이후부터의 급여 수준**이 일반 육아휴직자와 동일해졌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 4~6개월 차: 통상임금의 100% 지급 (월 최대 200만 원)
- 7개월 이후: 통상임금의 80% 지급 (월 최대 160만 원)
예를 들어, 기존 제도 하에서는 15개월 동안 최대 1,800만 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개정 이후에는 무려 2,520만 원으로 증가합니다. 무려 **720만 원 상승**입니다!
소급 적용도 되나요?
네, 됩니다!
이번 제도는 **2025년 1월 1일 이후 시작되는 육아휴직 기간부터 소급 적용**됩니다.
즉, 과거에 ‘아빠 보너스제’를 일부만 사용하고 잔여 휴직이 남아 있다면,
2025년 이후 해당 기간을 사용할 때는 **인상된 급여 기준**이 적용됩니다.
제도상 혜택을 놓치지 않기 위해, 자신의 육아휴직 잔여 기간과 시점을 꼭 확인하세요.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꿀팁
- 자격 확인: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가 있어야 하며, 고용보험 가입자여야 합니다.
- 소급 대상 여부 파악: 기존 육아휴직 중 남은 기간이 2025년 이후 사용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 급여 차액 계산: 4~6개월은 200만 원, 7개월 이후는 16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미리 계산해보세요.
- 신청 절차 숙지: 육아휴직 확인서, 통상임금 증빙자료 등 필요서류는 빠짐없이 준비해야 하며,
**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 신청**해야 지급됩니다. - 정책 변경 모니터링: 고용노동부 누리집이나 뉴스 채널을 통해 향후 변동사항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정리하며 – 놓치지 말고 지금 확인하세요!
이번 ‘아빠 보너스제’ 개정은 단순한 제도 변화가 아닌, **실질적 보상 증가와 형평성 강화**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큽니다.
이미 육아휴직을 사용한 분들도, 남은 기간이 있다면 꼭 한 번 더 점검하세요.
자칫 신청 시기를 놓치면 받을 수 있는 720만 원이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