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거주하며 아이를 키우는 맞벌이 또는 한부모 가정이라면, 매월 최대 60만 원까지 돌봄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5년 기준, 서울시가 시행 중인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 제도는 친인척(조부모 포함)이나 민간 돌봄서비스를 활용하는 가정에 실질적인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영아 돌봄의 부담을 덜 수 있는 이 기회,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어떤 가정이 신청할 수 있을까요?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다음의 자격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 아동 연령: 만 24개월 이상 ~ 만 36개월 이하
- 거주 조건: 아동 또는 보호자 중 1인 이상이 서울시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
- 양육 공백: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중증질환 등의 사유로 돌봄 어려움이 있는 경우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맞벌이는 소득의 25% 감산 적용)
특히 맞벌이 가정은 소득 기준이 유리하게 적용되므로, 자격 여부를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얼마나, 어떻게 지원받을 수 있나요?
지원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선택에 따라 지급 금액과 준비서류가 달라집니다.
- 조부모 등 친인척 돌봄형: 월 40시간 이상 돌봄 시 최대 30만 원 지급
- 민간 돌봄기관 이용형: 서울시 지정 기관 이용 시 시간당 약 7,500원 지원 (최대 월 60만 원까지)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도 유리합니다. 두 자녀는 최대 45만 원, 세 자녀는 최대 6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지금 활용 가능한 최대 지원금이 얼마인지 바로 확인해보세요.
언제, 어디서 신청하면 되나요?
신청은 매월 1일~15일 사이에 서울시 온라인 포털 ‘몽땅정보 만능키’에서 할 수 있으며, 심사를 거쳐 다음 달부터 지원이 시작됩니다.
- 복지로 또는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자격 확인
- ‘몽땅정보 만능키’ 접속하여 온라인 신청
- 자치구 심사 후 대상자 선정 (말일 기준)
- 돌봄활동 완료 후 인증 및 활동내역 등록
- 매월 20일경 지원금 지급
조부모 돌봄형은 사전 교육 이수와 활동인증이 필수이며, 민간형은 기관 매칭을 미리 진행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일정 놓치지 마세요!
이건 꼭 확인하세요!
정확한 수급을 위해 아래 사항들을 반드시 체크하세요.
- 어린이집 보육시간(09:00~16:00)은 돌봄 인정 시간에서 제외
- 정부 아이돌봄서비스와 중복 수급 불가
- 야간 시간(22시~06시) 돌봄활동은 인정되지 않음
- 친인척 조력자는 반드시 서울시에 거주 중이어야 함
- 신청 기간(1~15일)을 놓치면 해당 월은 소급 지원 불가
기간 놓치지 않도록 알람 설정해두고,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활용법
예시로, 맞벌이 부부 A씨는 만 28개월 자녀를 조모가 평일 2시간씩 돌봐주고 있습니다. 조모가 서울시 교육을 수료하고 돌봄 활동을 인증받으면, 매달 30만 원의 돌봄비를 받을 수 있죠.
민간 돌봄형으로 전환하면 시간 기준으로 환산해 동일한 수준의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각 가정의 상황에 맞게 유형을 선택하세요.
마무리 요약
서울형 아이돌봄비는 자격만 갖춘다면 간단한 절차를 통해 안정적인 돌봄비를 매월 지원받을 수 있는 유용한 정책입니다.
양육 공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이라면, 오늘 바로 신청 준비를 시작해보세요. 서울시가 육아를 함께 책임져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