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에도 기본소득이! 2026년 인구감소지역 주민에 월 15만 원 지역화폐 지급

“농촌에도 삶의 기본을! 2026년부터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이 시작됩니다.”
정부는 2026년 예산안에 인구감소지역 농어촌 주민의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위해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을 신설했습니다. 매달 15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해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입니다.

농촌 가정에서 지역화폐 카드에 ‘월 15만 원 농어촌 기본소득’이라고 쓰여 있는 모습을 받는 장면

사업 개요

  • 대상 지역: 인구감소가 심각한 농어촌 6개 군 (공모를 통해 선정 예정)
  • 대상 인원: 약 24만 명
  • 지급 금액: 매월 15만 원, 지역화폐로만 사용 가능
  • 예산 규모: 총 1,703억 원 편성 (국비 40%, 도비 30%, 군비 30% 매칭)

정책 도입 배경과 기대 효과

농촌지역은 고령화, 청년 유출, 기후변화 등의 복합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번 기본소득 지원은 단지 현금 제공에 그치지 않고, 지역 내 소비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기반을 강화합니다.

이와 함께 기존 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지역 인구 유입, 정주 여건 개선, 경제 회복력 강화 등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됩니다.

왜 지금 필요한가?

  1. 농촌 소멸 방지—기초 경제 지원으로 지역 거주 유지 유도
  2. 지역경제 활성화—지역화폐 사용으로 지출이 지역 내부 순환
  3. 포용적 복지 강화—도시 대비 상대적으로 복지 기반이 취약한 농촌에 맞춤 지원

정책, 어떻게 시작되었나?

‘농어촌 기본소득’은 2026년 예산안에 새롭게 도입된 사업으로, 정부는 총 1,703억 원의 예산을 통해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 향후 확대 방안도 검토 중이며, 2030년까지 전국 69개 군, 약 272만 명에게 확대할 계획도 발표된 바 있습니다.

요약 정리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은 농촌 지역 주민의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입니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시범사업을 통해 성과와 한계를 함께 평가하고, 지속 가능한 농촌 복지 기반을 마련해 나가려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