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공근로 근로조건·급여 계산법 – 실제 수령액 시뮬레이션

“공공근로를 하면 한 달에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지원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질문입니다.

공공근로사업은 단순한 일자리가 아니라 생활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받게 될 급여 수준을 알아야 생활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공공근로 근로조건과 급여 계산법, 그리고 실제 수령액 시뮬레이션을 정리했습니다.

공공근로 참여자가 급여를 계산하는 모습

1. 근로시간과 근로일수

공공근로의 근무 조건은 보통 다음과 같습니다.

  • 하루 3~5시간 근무 (지자체별 차이 있음)
  • 주 5일 근무
  • 월 평균 20~22일 근무

따라서 급여는 일급 × 근로일수로 계산할 수 있으며, 법정 공휴일에는 근무하지 않습니다.

2. 2025년 최저임금 기준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1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공공근로 임금은 이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예시: 하루 5시간 근무 시 일급 약 50,500원

➡ 월 20일 근무 기준: 약 101만 원 (세전)

3. 실제 수령액 계산

세전 급여에서 4대 보험료와 세금 일부(약 3~5%)가 공제됩니다.

  • 하루 5시간 × 20일 = 세전 101만 원 → 실수령액 약 96~98만 원
  • 하루 3시간 × 20일 = 세전 60만 원 → 실수령액 약 58만 원
  • 하루 8시간 × 20일 = 세전 162만 원 → 실수령액 약 155만 원

이처럼 근무 형태와 지자체 예산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달라집니다.

4. 추가 수당과 지원

공공근로 참여자는 기본 임금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부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교통비 또는 식대 지원
  • 건강검진 비용 일부 지원
  • 근속 기간별 추가 수당 (지자체별)

이는 모집 공고에 명시되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5. 생활 계획 세우기

공공근로 급여는 장기적 생계 유지보다는 단기 생활비 보전 성격이 강합니다. 따라서 예상 수령액을 기준으로 지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 월세, 공과금, 생활비를 기준으로 예상 급여 맞춤형 가계 계획을 작성하는 방식

또한 국민취업지원제도, 기초생활보장 등 다른 정부 지원과 병행하면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결론: 현실적인 수령액 확인이 먼저다

공공근로 참여를 고민한다면, 기대 임금이 아닌 실제 수령액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기준 하루 근로시간에 따라 월 60만 원~160만 원 수준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모집 공고의 근로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나의 생활비 계획과 비교하는 것이 현명한 시작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