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 계산법 완벽 정리! 알바생·직장인 모두 알아야 할 월급 산출법

아르바이트생이나 단시간 근로자분들이 월급을 계산할 때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주휴수당이 뭔지’, ‘나는 받을 수 있는지’, ‘얼마나 추가로 받는 건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오늘은 주휴수당의 개념부터 계산 공식, 실제 예시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급여 계산기를 사용해 주휴수당과 시급을 계산하는 장면

1. 주휴수당이란 무엇일까?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른 유급휴일 수당이에요. 주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라면, 주 1회 이상 주어진 유급휴일에 대해 평균 1일치 임금을 지급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 일을 쉬어도 하루치 급여를 더 주는 제도예요.

따라서 주휴수당은 ‘내가 일한 시간 외에, 법적으로 보장되는 휴식일 임금’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2. 주휴수당 계산 공식

주휴수당 계산은 사실 단순합니다. 다음의 공식을 기억하세요:

  • 주휴수당 = (주간 근로시간 ÷ 주 5일) × 1일 근로시간 × 시급

예를 들어, 주 24시간 근무하고 시급이 10,000원이라면:

  • 주간 근로시간 24 ÷ 5 = 4.8시간
  • 주휴수당 = 4.8 × 10,000 = 48,000원

즉, 실제 근무 외에 48,000원을 ‘추가 수당’으로 받게 되는 거죠.

3. 월급 계산 방법

그렇다면 월급은 어떻게 산출될까요?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급 = (월 총 근로시간 × 시급) + (주휴수당 × 주 수) – 세금 3.3%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에 9월 한 달 100시간 근무했다고 가정하면:

  1. 근로시간 임금: 100 × 10,000 = 1,000,000원
  2. 주휴수당: 약 4주 × 48,000원 = 192,000원
  3. 세금 공제: (1,192,000 × 0.033) = 약 39,336원
  4. 실수령액: 약 1,152,664원

이렇게 실제 월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차에 따라 4주인지 5주인지에 따라 주휴수당 총액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4. 주휴수당을 못 받는 경우

모든 근로자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대표적인 제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 15시간 미만 근무
  • 결근이 잦아 ‘소정근로시간’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 조건이 명시되지 않은 특수고용 형태(단, 대부분은 법 적용됨)

5. 주휴수당 계산할 때 꼭 챙겨야 할 팁

  • 주차별로 근로시간을 합산해 주휴수당 여부를 확인하세요.
  • 계약서에 ‘주휴수당 포함 시급’인지, ‘별도 지급’인지 반드시 체크하세요.
  • 세금(3.3%)은 프리랜서 형태로 계약된 경우이고, 일반 알바생은 4대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공제 항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주휴수당은 적지 않은 금액이므로 반드시 챙겨야 할 권리입니다. 근로시간 기록과 시급만 알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