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보증금·월세 전환율 계산법과 부가가치세 기재 방법

상가 임대차 계약에서는 보증금과 월세를 어떻게 조정하느냐가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특히 기존 조건에서 보증금을 올리거나 줄일 때, 얼마만큼 월세를 조정해야 하는지 헷갈려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가 임대 조건에서 보증금과 월세를 전환율로 계산하는 장면

보증금과 월세의 전환율 계산

상가 임대차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보증금과 월세 간 전환율을 연 4~6% 수준으로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을 5천만 원에서 1억으로 올리면 차액은 5천만 원이고, 이를 연 5% 전환율로 계산하면 월 약 20만 원 수준입니다. 따라서 기존 월세 350만 원에서 330만 원으로 조정하는 것이 적정선입니다.

네이버 부동산 월세 기재 시 부가세 처리

상가 임대료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므로,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월세 + 부가세(10%)를 청구합니다. 따라서 광고 시에는 '월세 ○○만 원(부가세 별도)' 또는 '월세 ○○만 원(VAT 포함)'이라고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보통은 '부가세 별도' 표기를 많이 사용합니다.

임대 조건 협의 시 유의사항

임대료 책정은 단순 계산 외에도 상권 상황, 공실 위험, 세입자 신용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보증금과 월세 조정 시 계약서에 반드시 '부가세 포함/별도' 여부를 명시해야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보증금을 1억으로 높일 경우 월세는 약 330만 원이 적정하며, 네이버 부동산 등에는 부가세 포함 여부를 반드시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