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비 걱정 때문에 외출을 망설이시나요?” 만 65세 이상이라면 부모님도 대중교통을 무료 또는 할인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어르신 교통카드’가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만 하면 특별한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어르신 교통카드는 만 65세 이상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한 정책입니다. 버스와 지하철을 마음 놓고 탈 수 있어 외출이 많아지는 부모님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방법과 발급 절차, 팁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어르신 교통카드란 무엇인가요?
‘어르신 교통카드’는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게 제공되는 대중교통 할인카드로, 지하철과 버스를 일정 횟수 이상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수도권은 1일 2회 무료지만, 지역에 따라 횟수나 적용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발급 대상 및 받을 수 있는 혜택
- 연령 대상: 만 65세 이상 (생일 기준)
- 이용 혜택: 버스・지하철 하루 최대 2회 무료 (지자체별 무제한 정책 존재)
- 적용 범위: 도시·광역버스 및 지하철 등 주요 대중교통, 일부 시외·철도 제외
발급 절차: 3단계 간단 가이드
- 오프라인 신청: 주민센터, 구청 교통복지센터, 지하철역 무인발급기
- 온라인 신청: 정부24 또는 해당 지자체 앱 사용 (단, 최초 카드는 직접 수령)
- 필요 서류: 신분증, 여권 사진 1장
발급 비용은 대부분 2,500~5,000원이나, 지역별로 무료인 곳도 있으니 방문 전 확인하세요.
활용 팁과 주의사항
- 카드는 65~74세용과 75세 이상 전용이 다릅니다.
- 대전・광주・대구 등 일부 지자체에선 하루 4회 무료 탑승도 가능해요.
- 분실 시 즉시 정지 요청하고 재발급 받으세요.
교통수단별 혜택 요약
| 교통수단 | 무료 혜택 | 비고 |
|---|---|---|
| 도시·광역버스 | 1일 2회 무료 | 초과 시 정상요금 적용 |
| 지하철 | 1일 2회 무료 | 환승 가능 |
| 시외버스·철도 | 비급여 | 충전해서 사용 |
어르신 교통카드는 부모님의 외출 기회를 넓히고 이동비 부담을 줄여 줍니다. 신청은 주민센터나 지하철역서 간단히 처리 가능하므로 지금 바로 준비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