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에 가려운 붉은 좁쌀: 모낭염·땀띠·곤충 물림·옴 구분과 대처법(군대·운동 후 케이스)

운동·예초 작업 등으로 땀과 마찰이 많을 때 등에 가렵고 작은 붉은 발진이 한꺼번에 올라올 수 있습니다. 사진만으로 확진은 불가하지만, 모낭염(특히 말라세지아), 땀띠(밀리아리아), 곤충 물림(빈대 등), 옴(scabies)이 대표 감별 진단입니다. 아래에서 특징과 대처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등에 균일한 작은 붉은 뾰루지가 분포한 모습의 교육용 이미지

1) 말라세지아 모낭염 의심 포인트

  • 상부 등·가슴에 균일한 작은 뾰루지(모낭 중심), 가려움이 뚜렷함
  • 땀, 타이트한 운동복, 보습제·오일류 사용 후 악화하기도 함
  • 대처: 샤워 직후 건조, 땀 식힌 뒤 옷 갈아입기, 보디워시로 케토코나졸·셀레늄설파이드 성분 샴푸를 등에 3~5분 접촉 후 헹구기(눈가·상처 주의). 지속 시 피부과 상담

2) 땀띠(밀리아리아) 의심 포인트

  • 무더위·격한 운동 후 상체·목 주변에 작고 매우 가려운 발진
  • 전염성은 없음
  • 대처: 시원한 환경, 땀 식히기, 통풍 좋은 옷, 마찰 줄이기. 필요 시 단기간 저자극 진정 로션 사용

3) 곤충 물림(빈대 등) 가능성

  • 숙소·침구 공유 후 둘 다 가려운 팝업이 생겼다면 의심
  • 특징: 노출부에 군집 또는 줄지은 자국, 새로 생김-가라앉음 반복
  • 대처: 침구·의류를 60°C 이상 세탁·건조, 매트리스 봉제선·틈새 점검, 흡입·청소 실시

4) 옴(Scabies) 신호이면 즉시 진료

  • 밤에 가려움이 심하고 손목, 손가락 사이, 겨드랑이, 허리선, 사타구니 등까지 번질 때
  • 전염성이 있어 동거인·연인과 동시 치료가 원칙(처방 필요)

바로 해볼 수 있는 위생·생활 수칙

  1. 운동·작업 후 바로 샤워, 땀 말린 뒤 통풍 되는 면 의류로 교체
  2. 운동복·수건·침구는 자주 세탁(가능하면 고온 세탁·건조)
  3. 등 보디워시는 과한 오일·로션 대신 순한 제품 사용
  4. 손톱 짧게 깎기(2차 감염 예방), 상처는 비벼 긁지 않기

병원으로 바로 가야 하는 경우

  • 고름·심한 통증·열감, 38℃ 이상 열, 급속 확산
  • 야간 소양 심화·접촉자 동시 증상, 1~2주 내 호전 없음

정리하면, 사진 상황에선 모낭염 쪽 가능성이 크지만 전염성 질환(빈대·옴) 신호가 겹치면 검사가 꼭 필요합니다. 동일 생활공간 관리와 파트너 동시 점검을 함께 진행하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