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명세서에 세전 금액이 2,424,200원이라고 적혀 있을 때,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돈(세후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공장이나 제조업 직종이라면 4대 보험이 기본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세전과 세후 금액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1. 세전 2,424,200원의 세후 실수령액
정규직 근로자 기준으로 4대 보험과 세금을 공제하면 보통 약 9~11% 정도가 빠집니다.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 세후 실수령액: 약 2,160,000원 ~ 2,190,000원
정확한 공제액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근로소득세 등이 포함되며, 부양가족 수나 비과세 항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2. 3.3% 공제 대상은 따로 있어요
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 부분인데, 3.3%는 일반 근로자에게 적용되지 않아요. 해당 공제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 프리랜서 형태로 일할 때
- 사업소득자로 분류되는 외주, 용역 계약
- 근로계약서가 아닌 위탁계약서 등으로 계약 시
공장에서 정규직 또는 일용직 근로자로 일하시는 경우라면, 4대 보험 공제가 기본이며 3.3%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3. 실수령액 계산 도구 안내
보다 정확하게 알고 싶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공식 계산기를 이용해 보세요.
실제 입금액이 궁금하시다면, 급여 명세서나 인사담당자에게 확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